아파트를 알아볼 때 자주 듣게 되는 단어가 바로 "평수", "전용면적", 그리고 "공급면적" 입니다. 그런데 이 용어들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평수 계산법을 정확히 몰라 혼란을 겪거나, 잘못된 면적으로 집을 평가하는 일도 종종 발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파트 평수 계산법과 함께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아파트 면적 용어 전용면적과 공급면적
아파트 면적은 크게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으로 나뉩니다. 이 두 개념의 차이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용면적이란?
전용면적은 말 그대로 집 안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의 면적을 말합니다. 즉, 벽 안쪽 기준으로 거실, 방, 주방, 화장실 등이 포함되며, 복도나 계단 같은 공용 부분은 제외됩니다.
- 예시: "전용면적 84㎡"라고 하면 집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이 84㎡라는 의미입니다.
공급면적이란?
공급면적은 전용면적에 공용면적(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등)을 더한 면적입니다. 아파트의 총 면적을 의미하며, 주거공간 이외의 공용 시설도 포함되므로 실제 사용하는 공간보다 큽니다.
- 예시: "공급면적 112㎡"라고 하면, 전용면적 84㎡ + 공용면적 28㎡의 합계입니다.
2. 평수 계산법 제곱미터(㎡)를 평으로 변환하기
아파트 면적은 법적으로 ㎡(제곱미터) 단위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일상에서는 평 단위를 많이 씁니다. 따라서 두 단위를 상호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1평은 몇 제곱미터일까?
1평은 약 3.3㎡입니다. 이를 활용하면 제곱미터(㎡)를 평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계산법: 제곱미터(㎡) ÷ 3.3 = 평
예시
- 전용면적 84㎡를 평으로 변환
→ 84 ÷ 3.3 ≈ 25.45평 - 공급면적 112㎡를 평으로 변환
→ 112 ÷ 3.3 ≈ 33.94평
이처럼 전용면적 84㎡ 아파트는 약 25평형, 공급면적 112㎡ 아파트는 약 34평형으로 불립니다.
3. 평형 기준과 실제 사용 면적 차이
아파트 광고에서 흔히 "25평형", "34평형"이라는 표현을 보게 됩니다. 하지만 평형 기준은 공급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실제 거주 공간인 전용면적과 차이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34평형 아파트"라고 광고하는 경우 실제 전용면적은 약 84㎡ (25평) 정도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아파트를 비교할 때는 공급면적뿐만 아니라 전용면적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
아파트를 선택할 때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을 정확히 이해하면 더 현명한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 전용면적: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생활 공간이므로 거주 편의성과 직결됩니다.
- 공급면적: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등 공용면적을 포함하므로 아파트의 규모나 단지 전체의 크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평수 계산 시 꼭 기억할 점
- ㎡를 평으로 바꾸려면 3.3으로 나누기
예) 전용면적 59㎡ → 59 ÷ 3.3 ≈ 18평 - 공급면적과 전용면적 비교
광고에 나오는 평수는 대부분 공급면적 기준입니다. 하지만 실사용 면적인 전용면적이 더 중요합니다. - 베란다 확장 여부 확인
베란다를 확장하면 실사용 면적은 늘어나지만, 전용면적 자체는 변하지 않습니다.
아파트를 구매하거나 임대할 때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을 정확히 구분하고 평수 계산법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제곱미터(㎡)를 평으로 쉽게 변환하려면 3.3으로 나누기만 기억하면 됩니다. 또한 광고에 나온 평형만 믿지 말고, 반드시 전용면적을 확인해 실제 생활에 맞는 공간을 선택하세요.
이제 헷갈리지 않고 아파트 면적을 비교하고, 나에게 꼭 맞는 집을 찾을 수 있겠죠? 꼼꼼한 확인이 후회 없는 선택의 시작입니다.
최근댓글